학술논문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Korean Adul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이선희 김진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151~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24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 논문 중 총 25편을 선정하고, 무선 효과 모형으로 93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864로 큰 효과크기를 얻었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용서, 영성적 요인, 인지적 요인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정서적 요인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중 재변인 중 참여자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세분화된 외상 경험을 고려한 대상 특성별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따른 효과크기는 요구 조사를 실시했을 때와 매체를 사용했을 때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서는 집단 크기 10∼20명, 운영 기간 9∼12주, 회당 운영 시간 70∼100분, 주당 회기 수 1∼2회일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관련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ults in Korea using a meta-analysis. A total of 25 studies from 1999 to June 2024 were selected, and 93 effect sizes were analyz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The results indiated on overall effect size was .864, representing a large effect size. Large effect sizes were observed for forgiveness, spiritual, and cognitive factors. In contrast, emotional factors exhibited medium effect sizes,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effect sizes were observed when specific trauma experiences were considered. Regarding program components, large effect sizes were seen with needs assessments and media use. Analysis of effect sizes by group operation revealed that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when conducted with 10-20 members, over 9-12 weeks, with sesseions lasting 70-100 minute and held 1-2 times per week.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