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 The Sequential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황주희 최윤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241~2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 수준이 역전이 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위(Wee) 클래스에 근무하고 시·도교육청 위(Wee) 센터에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 247명을 대상으로 5요인 마음챙김 질문지(FFMQ),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CMS), 특질 상위 기분 척도(TMMS), 정서조절 곤란 척도(K-DERS)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Hayes(2013)의 Process Macro 6번 모형을 통해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및 정서조절의 단순 매개효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한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정적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은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아울러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 수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정적인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은 순차적으로 부분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의 인성적, 전문적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 방안으로서 마음챙김실천의 변화기제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unselors' mindfulness and their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7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Wee Classrooms and Wee Centers across South Korea, using the 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FFMQ),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cale (CMS), Trait Meta-Mood Scale (TMM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DERS). Hayes’ (2013)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examine the individual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dditionall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grating mindfulness practices into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school counselors' personal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