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chool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t Risk of Interrup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정양미 김동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G광역시 소재 중학생
262명 중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위기군으로 선정된 69명 중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학생 22명을 실험집단(n = 11)과 대기-통제집단(n = 11)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인지행동 집단상담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중학생의 학교적응검사와 대인관계척도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 역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안정을 돕는 개입 프로그램으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in enhancing school adjust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t risk of school dropout. Participants were 2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G Metropolitan City, selected from 69 students identified as at-risk based on an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 = 11) or a waitlist control group (n = 11).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and school adjust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measured using validated scales for Korean adolescents.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hool adjust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positive changes observed across sub-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supporting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at-risk adolescent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