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Perceived Childhood Neglect 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arly Adulthoo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최소영 김승윤 최현주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131~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아동기 지각된 방임과 우울,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28세를 대상으로 246부의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와 Amos 29.0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과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적상관으로 확인되었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은 부적상관, 방임과 우울은 정적상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방임과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방임 경험은 직접적으로 초기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며,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은 방임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방임 경험은 초기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저하시킨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지각된 방임을 겪은 성인 초기 내담자의 정서적, 사회적 적응을 높이기 위해 위한 정서인식명확성의 개입방안의 유용함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perceived childhood neglect influences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in early adulthood. Data from 246 individuals aged 20 to 28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Amos 29.0.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hood negl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emotional cla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dditionally, childhood neglec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rther demonstrated that emotional clar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neglec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neglect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larity as a potential intervention target for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arly adulthood who have experienced perceived childhood negl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effective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well-being in this popula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