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Perceived Childhood Neglect 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arly Adulthoo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치료학회
저자명
최소영 김승윤 최현주
간행물 정보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131~1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아동기 지각된 방임과 우울,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28세를 대상으로 246부의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와 Amos 29.0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과 정서인식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적상관으로 확인되었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은 부적상관, 방임과 우울은 정적상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방임과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방임 경험은 직접적으로 초기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며,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은 방임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방임 경험은 초기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저하시킨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지각된 방임을 겪은 성인 초기 내담자의 정서적, 사회적 적응을 높이기 위해 위한 정서인식명확성의 개입방안의 유용함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perceived childhood neglect influences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in early adulthood. Data from 246 individuals aged 20 to 28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Amos 29.0.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hood negl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lar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emotional cla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dditionally, childhood neglec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rther demonstrated that emotional clar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neglec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neglect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larity as a potential intervention target for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arly adulthood who have experienced perceived childhood negl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effective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well-being in this popula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소영,김승윤,최현주. (2025).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7 (1), 131-150

MLA

최소영,김승윤,최현주.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7.1(2025): 131-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