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요구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Needs Analysis of Graduate Student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김정희 박소민 박인우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1호, 99~1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의 요구를 분석하고, 전공계열별 요구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대학교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4년 10월 10일부터 18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 중 총 314명의 응답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한 데이터는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LF) 모델을 활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단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비교과 프로그램 요구 조사의 모든 항목에서 필요 수준의 평균이 현재 수준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대학원 재학생들은 ‘학과별, 전공별 특성이 반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과 ‘전공별 필요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로드맵 제공’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LF 모델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요구 항목으로는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학과별, 전공별 특성이 반영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비교과 프로그램 활동에 충분한 재정적 지원’, ‘비교과 활동 참여에 대한 혜택 제공’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계열에 따른 학생들의 요구 분석 결과 최우선 순위 항목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차순위로 고려해야 할 항목에서는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aduate students' need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examine differences by academic disciplin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ailored, student-centered program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graduate students at A-University in Seoul from October 10 to 18, 2024, and 314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the Borich Needs Analysi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LF)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eeds assessment for graduat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perceived necessity for all items in the needs assess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Borich's analysis indicated high demand for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reflecting department- and discipline-specific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a roadmap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tailored to each discipline’. Second, considering both Borich's analysis and the LF model results, the top-priority needs were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reflecting student opinions’,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reflecting department- and discipline-specific characteristics’, ‘providing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for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and ‘offering benefits for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rd, while the highest-priority needs showed little variation across disciplines,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condary priorit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