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과대학 통합 6년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faculty and students for designing the integrated six-year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이수지 임선주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1호, 75~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예과 2년과 의학과 4년의 의과대학 학제에서 통합 6년제로의 개편을 앞두고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P의과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통합 6년제의 필요성,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선다형과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15문항이었다. 교수 74명과 학생 370명이 응답하였고, 응답한 수와 빈도를 분석하였다.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의 87.8%, 학생의 57.8%가 통합 6년제로의 전환에 동의하였다. 그들은 교육의 연속성을 기대하였고, 타 학문 학습과 교류의 기회가 축소되는 것을 우려하였으며, 학생은 특히 경쟁이 심화되는 것을 경계하였다. 토의식 수업 확대, 과목의 특성에 따른 상대-절대평가 방법의 혼합,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지하고 있었다. 학생 맞춤형 트랙으로서 의사과학자, 필수의료인재, 공공의료 인재 및 글로벌 리더 트랙에 대해 동의하였고, 트랙 교육 방법으로 실습을 가장 선호하였다. 교수는 학생에 비해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공공의료를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트랙을 골고루 선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 6년제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구성원의 지지가 높은 교육과정을 세밀하게 설계하고, 상대적으로 우려를 표시한 교육과정의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성공적인 교육과정 변화를 안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culty and student perceptions to inform curriculum design for the transition from a two-year pre-medical and four-year medical system to an integrated six-year system at P Medical School. A survey consisting of 15 items on the necessity of the six-year system,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and personalized curricula was completed by 74 faculty members and 370 student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faculties and students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showed that 87.8% of faculty and 57.8% of students supported the transition. Both groups expected continuity in education but were concerned about reduced opportunities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especially among students. High agreement was found on expanding discussion classes, a combination of relative and absolute assessment, and adopting personalized curricula. Faculty and students supported tracks for physician-scientists, essential healthcare professionals, public health experts, and global leaders, preferred practical training as education method for tracks. Faculties exhibi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mpared to students. Students showed balanced preferences for all tracks except public health.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the integrated six-year curriculum were made. Carefully designing the curriculum with strong stakeholder support and minimizing concerns will ensure successful implement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