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교육의 만족-불만족 결정요인 비교분석
이용수 33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한규은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1호, 147~1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학생들이 경험한 만족/불만족 교양과목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기존의 교양교육 만족도 연구들이 단순 만족도 측정에 그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만족-불만족 교과목의 직접적 비교를 통해 교양교육의 질적 차이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내용, 교수법, 학제 간 관련성, 과목선택 자율성, 평가의 질, 전공선택 영향 등 6개 영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영역별로 3-5개의 세부 문항을 개발하여 총 25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만족-불만족 강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교수법과 전공선택 영향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강의내용과 과목선택 자율성도 큰 차이를 보였다. 세부 항목 분석에서는 교육방법의 효과성, 학문적 관심사 발견, 희망과목 일치도에서 가장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질적 차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 학생의 자율적 과목 선택권 보장, 진로 탐색 기회 제공 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교양교육의 질적 관리가 학생들의 학업 및 진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liberal arts courses experienced by students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o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that merely measured satisfaction level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ey factors determin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direct comparison of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cour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6 university students across six domains: course content, teaching methods, interdisciplinary relevance, course selection autonomy, quality of assessment, and influence on major selection. The measurement instrument consisted of 25 items total, with 3-5 detailed items developed for each domain.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tisfactory and unsatisfactory courses across all domains. Notably, teaching methods and influence on major selection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s, while course content and course selection autonomy also demonstrated substantial differences. Detailed item analysis identifi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discovery of academic interests, and alignment with desired cour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identified factors determin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ensuring students' autonomous course selection, and providing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are cruci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quality manag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