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에서 공감교수법 적용에 대한 교수자ㆍ학습자 인식 분석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an Instruct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이윤정 정민영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1호,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은 대학 전공수업에 공감교수법을 적용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공감교수법 인식을 분석하여 공감교수법의 교육적 의의를 실증적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자(연구참여자)들로부터 얻어진 심층면담 자료와 교수자가 매주 작성한 교수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진은 지속적 비교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인식 분석결과이다. 첫째, 학습자들은 공감교수법이 적용된 수업을 학습내용 이해가 쉬운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도 경감된다고 하였다. 셋째, 공감교수법은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넷째, 학습자들은 공감교수법이 적용된 수업에서 안전하고 따뜻한 수업분위기를 경험한다. 교수자 인식 분석결과이다. 첫째, 교수자는 공감교수법을 통해 수업전문성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공감교수법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공감공동체를 활성화한다. 셋째, 교수자는 공감교수법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업 상황에서 발생하는 교육적 문제 해결에도 효과를 얻는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교수법은 인지와 정서의 균형잡힌 발달을 유도하는 하나의 대안적 교육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주목되는 협력과 공감을 강화하여 전인교육을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둘째, 공감교수법은 대학수업이 직면한 학업 및 성취동기 확보,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학습 상황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교육적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an instruct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The data for analysis consists of interview transcripts from learners and instructor's teaching journals. The learners’ perceptions are as follows. First,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as a teaching approach that facilitates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Second,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help reduce emotional labor. Third,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as a class environment where students understand and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Fourth,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as fostering a safe and warm classroom atmosphere. The instructor’s percep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recognized that their teaching expertise improved through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Second, the instructor stated that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the sense of an empathy based learning community were enhanced. Third,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addressing challenges that arise in classroom situations. Empathy Instructional Methods offers a balanced approach to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moting holistic education by strengthening critical competencies such as cooperation and empathy. This study offers practical solutions to educational challenges, including sustaining academic motivation and overcoming the fear of failure in university.
목차
I. 서론
II. 공감수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