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소그룹 활동을 통한 사전 수업과 면대면 수업 연계의 효과

이용수  37

영문명
The Effects of Pre-Class and In-Class Activities Connected through Small Groups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Classes
발행기관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저자명
박학민 박양주
간행물 정보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1호, 51~7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동료 튜터링 형식의 소그룹 활동을 통해 사전 수업과 면대면 수업을 연계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세종특별자치시 A 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플립드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3명의 교원과 수업을 수강하는 70명의 학습자를 선발하였으며, 사전 수업과 면대면 수업을 연계하는 소그룹 활동이 설계된 플립드러닝을 실험집단, 일반적인 플립드러닝을 통제집단으로 분류한 뒤 16주차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공분산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몰입을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수업 전과 중의 인지적, 행동적 몰입이, 수업 후의 행동적 몰입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 수업의 참여도, 수업 중 능동적 참여도 만족도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대학의 특성과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한 수업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육으로써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and effectiveness of connecting pre-class and in-class sessions through small-group peer tutoring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classes on learner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The study involved 70 students and 3 professor from University A,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using small-group flipped learning and a control group using standard flipped learning. Conducted over 16 weeks from March to June 2024,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9.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ANCOVA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dependent-sample t-tests revealed that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increased during pre-class and in-class stages, while behavioral commitment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post-class st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with pre-class prepa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during in-class sess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instructional design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learner variabl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lipped learning. It also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ctive support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in providing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educational practic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학민,박양주. (2025).대학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소그룹 활동을 통한 사전 수업과 면대면 수업 연계의 효과.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 (1), 51-73

MLA

박학민,박양주. "대학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소그룹 활동을 통한 사전 수업과 면대면 수업 연계의 효과."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1(2025): 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