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 of Art Therapy Classes as Liberal Arts Course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최승이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1호, 161~19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인성과 도덕함양’이라는 목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S 대학 내 교양학부 미술치료수업에서 학생들의 체험의 의미를 알고자 시행되었다. 교양수업으로서의 미술치료수업에서의 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타인과 연결될 수밖에 없고, 타인을 필요로 하며 서로를 끌어당기는 역동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주체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것은 생애 초기 분리 개별화를 통해 탄생한 심리적 구조를 지닌 한 개인이 성장하면서 분리만 강조되었던 독립의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 타인과 연결된 존재로서 타인을 향해가는 새로운 개별화의 과정이며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의 그림과 자기 이야기를 나누는 실습은 경직되었던 기존의 나와 너의 경계를 해체하고 자기 자리를 재정립하는 현상학적 장(field)을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수업에서 학생들은 생애 초기 분리개별화를 위한 환상 속 부모에 대한 애도과정의 연장선으로 애도를 재경험했다. 이때, 그림 그리기 실습은 애도를 위한 창조성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대학생들의 교양학부 수업으로서의 미술치료수업이 지향해야 할 부분에 대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students had in art therapy classes given by this researcher in the Liberal Arts classes at a university that aimed at “cultivating character and morality”, and what significance these imparted to the students. The bond and fulfillment that they found in their mutual relationship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acknowledge their parents, who were the core people affecting their lives, as others whose needs and limits were similar to their own. This change of viewpoint allowed student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ir parents but the world from another perspective. Finally, each of the students further learned that being a responsible person was to be responsible for others as a good parent in the future.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that they gained during the art therapy classes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understood that a subject is a dynamic being who is bound to connect with others and need them, and that they draw each other. This could be said as a process of new individualization that one moves toward others as a being who is connected to them, stepping out of the concept of independence in which only separation is stressed during his or her growth period as a psychological being who was created through separation-individualization in the early years of life. At the same time, this also could be defined as a process where one actively responds to others as an ethical subject. During this time, the practice of drawing pictures and sharing their stories provided a phenomenological field where they could eliminate the existing boundary between them and others and build themselves up. Second, the students experienced condolence again as an extension of the process where they mourned their imaginary parents who had existed in their mind in the early years of life for the purpose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During this time, the practice of drawing pictures functioned as a medium to stimulate them to display creativity for their condolences. Based on these insigh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on what an art therapy class should entail in its inclusion in Liberal Arts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학생들의 미술치료수업 체험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이. (2018).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1 (1), 161-192

MLA

최승이.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1.1(2018): 161-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