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운동의 변천에 관한 한 교육인류학적 소고
이용수 0
- 영문명
- An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arents’ Movements in the School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서덕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1호, 43~8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 나는 공교육의 변화를 추구하는 학부모들의 의식적인 노력과 실천을 ‘학부모운동’으로 보고 그 변천이 교육과 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 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학부모’가 어떻게 호명되면서 주체로 세워졌으며 어떤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러한 길들임에 저항하며 스스로의 주체됨을 찾아나가려고 했는지를 페쇠의 동일시(identification)-반동일시(counter-identification)-탈동일시(dis-identification)이론으로 해석하였다. 이 과정은 역사적으로는 학부모가 국가와 시장, 교사 등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이었으며, 실존적으로는 ‘학부모-되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학부모운동의 변천은 학부모들을 둘러싼 문화적 혹은 길들임의 주체로서의 국가와 시장, 즉 ‘체계(system)’와 그러한 체제의 길들임에 대하여 저항하며 오랫동안 체제에 의하여 ‘식민화’되었던 ‘생활세계(lebenswelt)’에서의 교육의 자율적 영역과 가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면, 오랜 ‘국가주의’, ‘학교주의’, 그리고 ‘시장주의’ 담론으로부터 교육을 떼어내 부모 그리고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는 과정이며, 개인적으로는 나의 학부모로서의 ‘현재’ 체험을 연구자로서의 내가 ‘역사적으로’ 맥락화하고 ‘미래’ 학부모로서의 내 삶을 결단하는 일에 다름 아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parents’ movements in the school system, which includes the efforts and practices of parents to pursue change in the school system.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 concerned with parents’ movement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how parents had been ‘interpellated’ by the state and the market in a particular juncture and how they had resisted the cultivating power of the system (the state and the market) in terms of Pecheux’s theory of identification, counter-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Such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parents’ movements in the school system could be understood as that of efforts to reconstruct the autonomous area of education in ‘the Lebenswelt’ and its intrinsic value against the domesticating and colonizing power of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research, this is no other tha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concept of ‘education’ from the discourse of ‘statism’ and ‘schoolism’. Also, it is the very process of contextualizing the researcher's lived experience of parents in the school system and projecting their life as a parent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이야기
2. 왜 학부모운동인가?
3. 교육인류학적 관점
4. 자료의 구성, 분석과 해석
5. 문화와 교육에 비추어 본 학부모운동의 변천
6. 학부모 되기: 체제에 식민화된 생활세계의 교육적 원리와 가치 복원의 주체-되기
7. 나오는 이야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질적 이해: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 학부모운동의 변천에 관한 한 교육인류학적 소고
-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 시각장애인 이료교육에서 “느낌”의 체득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서울시 마을 결합형 학교를 위한 제언: A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 M대학교 학생들의 볼리비아 해외교육봉사활동 전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전문대 학생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
- 이콘(ICON, 聖畵) 제작과정에 내재된 치유와 성장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