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 학생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
이용수 0
- 영문명
-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College Students' Preparation Process for Gaining Employ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신현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1호, 119~15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 학생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는 무엇이며 그리고 그 체험에서 발견하는 가능성은 무엇인지를 열어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방법이 활용되었다. 참여자들의 에믹한 목소리를 부각시키기 위해 1인칭 기술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자기보고식 실험적 글쓰기를 활용하였다. 취업목적이 다른 전문대 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은 ‘비유’로 분석하였다. 한계는 ‘벽에 갇혀서’로, 가능성은 ‘문을 찾아서’로 해석되었다. ‘세계-내-존재’로 ‘벽에 갇힌’ 학생들은 ‘구속’, ‘단절’, ‘도피’를 체험했다. 한계 속에서도 ‘세계-에의-존재’로 ‘문을 찾는’ 행위는 발견되었다. 학생들에게 문은 ‘통로’요, ‘환기’였다. 이를 토대로 전문대 학생들이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이 전문대학 직업교육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전문대학이 목표로 삼는 ‘전문실용인’ 양성, 전문대학의 학생들이 ‘전문실용인’으로 전환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일들에 대한 논의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선 전문대 학생들이 ‘어떤 분야에 실제로 쓸 수 있는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도록’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지’, ‘시간’, ‘수준’, ‘종류’는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체험 존중’, ‘시숙의 과정 인정’, ‘중요한 타자의 지지’에 대한 숙고가 학생들의 교육적 성장을 위해서 필요하다.
This study's aim was to reveal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college students' preparation process experience for gaining employment.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was used in the study, and narrative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 preparing for employment was described as self-reported experimental writing. Depending on college students' aims to get a job, narratives were analyzed for metaphor. 'Trapped in a wall' was interpreted as limitation; 'being-in-the world' and 'searching for a door' were interpreted as possibilities, along with 'being-to-the world'. 'Trapped in a wall' was represented as 'restriction', 'disconnection', 'escape'. 'Searching for a door' was symbolized as ' passage', 'ventil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s result on the vocational education that the college has conducted should be revealed. 'Professional practitioner' as a value of college should be discussed deeply. To raise professional practitioners, vocational education should contain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is accompanied by 'will', 'time', 'level', 'sort' of students. To achieve educational growth, it should include themes such as 'respect for students' lived experience', 'approve of students' growth over time', 'support from important others'.
영문 초록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방법
3. 전문대 학생의 취업준비 이야기
4. 전문대 학생들이 체험하는 취업준비의 한계와 가능성
5.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질적 이해: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 학부모운동의 변천에 관한 한 교육인류학적 소고
-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 시각장애인 이료교육에서 “느낌”의 체득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서울시 마을 결합형 학교를 위한 제언: A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 M대학교 학생들의 볼리비아 해외교육봉사활동 전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전문대 학생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
- 이콘(ICON, 聖畵) 제작과정에 내재된 치유와 성장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