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이용수  0

영문명
The Structure of Autonomy Found i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강진아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1호, 303~34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 나는 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를 이분법적 가치판단의 표면화, 연수함에서의 선택과 결정의 계기, 연수함과 배움의 구별하기와 연결하기, 자율성 규정의 난제라는 네 분류로 파악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연수 체험 시 표면적으로 자율은 좋은 것 타율은 나쁜 것이라는 이분법적 가치판단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잦다. 그런데 들여다보면 꼭 그렇게 단순하게 교사의 자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님을 뒤따르는 분류들에서 발견할 수 있다. 둘째, 교사 연수 시 교사의 자율성은 교사 생애에서의 다른 체험들과 연관되어 연수의 주제나 방식 선택을 변화시키기도 하고, 연수를 하지 않기로 마음먹게도 하며, 오히려 연수에서의 타율을 요구하게 하기도 한다. 셋째, 교사가 자율적으로 연수에 참여하였다 하더라도 연수 장면에서 배움이 일어나지 않게끔 하는 또 다른 자율성이 발휘되는 경우도 있으며, 비록 타율적으로 연수에 참여했지만 그 안에서 배움을 찾으려는 자율적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넷째, 한 교사 주체에게는 자율적이라고 여겨지는 연수가 다른 교사에게는 그렇지 않기도 하고, 학교 차원에서는 자율적으로 시행되는 연수가 교사 차원에서는 도리어 자율의 억압이기도 하며, 교사연수에서 교사 자율성의 관행이 기록과 절차 위주로 이루어지면서 정작 교사 연수를 그것답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In this study, I divided the structure of autonomy found i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into 4 categories: the surfacing of dichotomous judgement; reasons behind choices and decisions during training; differentiating and connecting between training and learning; and difficulties of defining autonomy. First, dichotomous instances where autonomy is held as “good” while heteronomy is held as “bad” frequently occur during elementary teacher training. However, a closer scrutiny of the following criteria reveals that teacher autonomy cannot be simply evaluated with these two categories. Second, during teacher training, teacher autonomy may mesh with other experiences in the teacher’s lifetime and can sometimes change the training purpose or methods, persuade the teacher into not attending the training, or request for heteronomy during the training. Third, even though the teacher may have independently decided to attend the training, or may autonomously decide to halt learning during the training experience, and even though the teacher may have attended the training due to outside influence, or may autonomously attempt to learn. Fourth, what may seem to be autonomous to one teacher may not be to another; what may be autonomous to the school may seem oppressive to the teachers; and the custom of autonomy for teachers may be through records and procedure, leading to a subversion of how training should be don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과정
3.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아. (2018).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교육인류학연구, 21 (1), 303-340

MLA

강진아.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교육인류학연구, 21.1(2018): 303-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