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질적 이해: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Understanding Parents' Perception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전은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1호, 225~26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현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특목고와 일반고 등 6명의 학부모들을 면담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목고 등 학부모들은 소질과 적성의 계발, 내실있는 교육과정, 즐겁고 보람찬 학교생활 등 수월성교육과 경쟁에 기초한 능력주의적 성취라는 점에서 특목고 등을 지지하였다. 또 특목고 등의 동질적 학교문화가 학업적 효율성과 학생간 결속력을 높인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반고 슬럼화 등 현행 고교체제와 관련된 논란은 구조의 문제를 학교로 환원시킨 것으로 보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학교선택을 생존과 적응을 위한 불가피한 결과로 이해하였다. 반면 일반고 학부모들은 현 고교체제로 인해 일반고 슬럼화가 야기되며, 일반고내에 패배자 정서가 만연되게 된다고 반박하였다. 또 학교간 계층적 학생분리로 인해 특목고 등 학생들의 선민의식이 강화되고 공동체 감수성이 저하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학군이 좋은 지역의 일반고 학부모들은 일반고 슬럼화가 지역적 변수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서 학군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일반고 학부모들 또한 도구주의와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특목고 등의 의의를 인정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자녀를 위해서 최적의 일반고를 선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열의와 관심에서는 교육특구와 비교육 특구 사이에 편차가 발견되고 있었다. 더해서 학부모들은 변화된 사회적 상황과 고교체제 하에서 일반고의 변화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상을 기초로 함의와 시사점을 현실적, 문화적, 실천적 차원에서 논하였다. 현실적 차원에서는 첫째, 학부모들은 현 고교체제가 가정하는 시장주의를 지지 및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현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제한적이었으며 고교선택은 실리적이었다. 셋째, 지역과 계층 등에 따라 학부모들의 학교교육 인식이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문화적 차원에서는 첫째, 학교간 계층적 분리와 문화적 갈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이 자녀 소속 학교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특목고 등 학부모들의 학교선택에 대한 실존적 동기를 통해 학부모 교육열을 새로이 이해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실천적 차원에서는, 시장주의적 고교체제에 대한 정책적 재고와 관련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study examined parent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based on qualitative approaches. Parents of children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ighly appreciated the type of education offered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xcellence evident in the talent and aptitude of students, a rich and substantial curriculum, and a pleasant and rewarding school life. They also saw that a homogeneous school culture of special-purpose schools promoted academic efficiency and cohesion among students. In addition, they supported competition based on a meritocratic school system, and considered the controversy of “slumism in general high school” as a result of reductionism that ascribed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to the school system. Parents of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that “slums in the general high school” phenomenon was caused by student selection of the current high school system. They insisted that special-purpose high schools hoarded excellent students, which not only made it difficult for general high schools to create an atmosphere for studying, but also left the absolute majority of students feeling disadvantaged. Furthermore, due to the hierarchical separation of students between schools, parents worried about the deterioration of community spirit and occurrence of distorted elitism among stud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fact that this situ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did not apply to all general high schools and there were some schools belonging to good school districts where it was difficult to find instances of “slumism.” Parents of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like parents of children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not only accepted the present high school system with a fait accompli in light of consumer choice, instrumentalism and utilitarianism, but also tried to choose the best general high school for their children. They also stressed adaptation and self-help measures for children in general high schools under the changed social context and high school syst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high school system and parental recognition of schooling were discussed.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3. 해석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행 고교체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질적 이해: 특목고와 일반고를 중심으로
- 초등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 학부모운동의 변천에 관한 한 교육인류학적 소고
-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 시각장애인 이료교육에서 “느낌”의 체득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양강좌인 미술치료수업 수강생들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서울시 마을 결합형 학교를 위한 제언: A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 M대학교 학생들의 볼리비아 해외교육봉사활동 전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전문대 학생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체험하는 한계와 가능성
- 이콘(ICON, 聖畵) 제작과정에 내재된 치유와 성장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