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료놀이(Theraplay)에서 거울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aning of Theraplay's mirror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신현정 윤미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4권 제3호, 103~13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일 거울을 본다. 그러나 거울에 부여하는 의미는 각 사람의 상황마다 같지 않다. 아동상담을 하는 사람에게도 거울은 특별하다. 여러 석학들이 거울을 비유로 어머니나 상담가의 태도를 강조했기 때문에 많은 아동 상담가들은 거울과 같은 존재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거울에 대한 추상적 개념은 구체적 적용과는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울이 있는 치료놀이실에서 아동과 치료사의 상호작용 현상을 통해 거울이 활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거울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치료놀이실에서 거울이 하는 역할들을 살펴보았다. 거울은 아동과 치료사가 함께 놀이할 수 있는 도구가 되었다. 그리고 거울은 자신의 내면끼리, 혹은 타인과도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소통매개자가 되기도 하였다. 아동이 자신의 긍정적 측면을 다시 보도록 비춰주는 반영자의 역할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아동-치료사가 긍정적 입장을 서로 교류(inter-pret)하는 것을 아동이 알아가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해석치료사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치료놀이 상황에서 거울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거울은 단순히 정의하기에 너무 오묘한 것임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아동의 상황에 따라 거울의 역동은 다양한 양태로, 스펙트럼같이 드러났다. 거울을 해석하는 아동과 치료사의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거울은 그 모습을 바꾸기도 하였다(가능태). 거울의 그 변화 가능성 때문에 치료놀이에서는 거울을 동반자로 삼고 석학들의 지침을 실천으로 옮기려 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the mirror and to understand concrete context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therapist in the theraplay room with mirror. First, the mirror's roles could be found. The mirror became play instruments when a child and therapist interacted together in the theraplay room. Also, the mirror's function was to mediate communication among "I"-"me", I-the other etc. We also found the mirror as a reflector to let the child recognize himself as a good person. At last, the mirror made its role as an interpretive therapist that connects interaction actively between child and therapist, and the mirror interpreted the dynamics, then helped child understand the interaction and himself.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mirror, we also got to know the mirror's meanings. The mirror was too complicated and mysterious to be simply defined. The mirror signified the spectrum that might show many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child's different situations. Furthermore, the mirror transformed its aspect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tuations of the child. It might mean that the mirror would be potentiality. We therapists would try to practice the theraplay taking the mirror with us, based on the mirror's diversifi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계기와 목적
2. 소개: 연구방법
3. 맥락: 치료놀이실 거울 이야기
4. 의미: 치료놀이실에서의 거울
5. 성찰: 치료사의 거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영화론 연구: 오손 웰즈의 <시민 케인>을 중심으로
- 치료놀이(Theraplay)에서 거울의 의미
- 전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아르바이트의 경험과 의미
- Syrian humanitarian aid programmes and the Iraqi Christian refugees in Syria: The expectations held both by the recipients and the service providers
- 어느 장애인 청강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 카테고리화 과정 해독
-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