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utobiographical metho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최연주 조덕주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4권 제3호, 69~10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공학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문가로서 교사가 자기의 교육적 행위를 반성하기 위해서는 한 개인으로서 자기성찰과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이에 자기성찰방법이자 교수방법으로서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과 교사교육자가 무엇을 경험하는지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자서전적 글쓰기를 하면서 자기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도 하였고, 타인을 인식하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발견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교사교육자 또한 자기 자신과 예비교사, 그리고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을 가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예비교사와 교사교육자는 이처럼 서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가운데 강한 신뢰와 자유가 느껴지는 수업을 할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이 개인의 삶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서전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자기 성찰적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w that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is stress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ical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eachers should first make a self-examination to understand themselves before they look back on their own teach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teacher educator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autobiographical writing by applying an autobiographical method.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obtain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ir own experiences as well as inner awareness and to observe the self in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experiences that the teacher educator went through the integrated prospect of the self as a teacher educator,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changed the atmosphere of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became more familiar with each other and formed a strong bond, which they hadn't experienced in the past. They felt an unprecedented amount of ease and freedom even if the task was very demanding and tough.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4. 자서전 쓰기를 통해 나타난 참여자들의 경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영화론 연구: 오손 웰즈의 <시민 케인>을 중심으로
- 치료놀이(Theraplay)에서 거울의 의미
- 전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아르바이트의 경험과 의미
- Syrian humanitarian aid programmes and the Iraqi Christian refugees in Syria: The expectations held both by the recipients and the service providers
- 어느 장애인 청강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 카테고리화 과정 해독
-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