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이용수  0

영문명
Reconsider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educational anthropologist eyes and exploring its ontological way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조용환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4권 제3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인류학은 오래 전부터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목적, 내용, 방법 등에 관련된 연구를 줄곧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문화' 이데올로기와 정책에 매몰되어 교육인류학의 호소와 공헌은 우리 교육계와 교육학계로부터 그에 합당한 관심을 받지 못해 왔다. 그러다가 이주민이 급증하고 다문화 가정과 그 아이들이 '문제'로 등장하면서 다문화교육이 유행처럼 무분별하게 다루어지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동향과 방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질적 연구의 존재론적 접근을 다문화교육에 접목시킬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금까지의 담론은 통합론, 교화론, 자원론, 인권론, 복지론이라 명명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담론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담론들에서 우리는 몇 가지 공통적인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감성적 측면이 소홀히 다루어졌다. 둘째, 질적 이해보다 양적 설명에 치중하였다. 셋째, 겉에 드러난 표현태(phenotype)에 주목하여 이면의 심층적 생성태(genotype)를 간과하였다. 넷째, 인식론에 머물러 존재론으로 나아가지 못 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유념하면서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존재론적, 미학적 방법으로 시를 선택하고 있다. 그간 망각, 은폐, 왜곡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열어 밝히는 데 ``시의 미학``이 어떤 가능성과 한계가 있을지 이 논문은 실험적인 탐구를 시도하고 있다. Anthropology of education has long studied such phenomena as educating multi-cultures, educating multi-culturally, and educating in multi-cultural situations. Its mission and contribution, however, have neither been properly recognized nor properly rewarded by Korean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indulged in mono-cultural ideologies and policies. Meanwhile, Korean society began to gain more and mor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hich caused various social conflicts between foreigners and natives. As a result, multicultural education became a prominent task recently among educato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They are now strongly recommended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and wisdom of educational anthropologists.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r the last decade seems to be oriented toward integrating social identities, domesticating cultural habits, developing human resources, securing human rights, and promoting the public welfare of children from immigrant families. However, such orientations have revealed several weak points on a philosophical basis as well as in methodological relevance, including (1)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preponderance to quantitative explanation rather than qualitative understanding, (3) overemphasis upon phenotype rather than genotyp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blems', and (4) indifference to ontologic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tries an alternative poetic approach in order to apply more and better considerations for emotional, qualitative, genotypical, ont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환. (2011).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교육인류학연구, 14 (3), 1-29

MLA

조용환.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교육인류학연구, 14.3(2011):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