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socialization of american adolescents through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박순용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12권 제1호, 173~20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 중서부 지역의 3개 주(Michigan, Indiana, Wisconsin)에서 11개교에 수학 중인 청소년 31명을 ‘일반가정 남·여 청소년’과 ‘저소득층 가정 남·여 청소년’의 총 네 개 집단으로 나누어 질적 네트워크 분석(Qualitative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고, 연구대상자들이 구성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의미와 사회성 발달의 연관성을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을 네 개의 집단으로 나누는 것과 동시에 연구영역 역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개 영역(가족, 친구, 학교 및 연구대상자 지정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자 네트워크 차트를 완성시키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네트워크 주체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을 유도한 결과 청소년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해낼 수 있었고 이들의 사회성 발달을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방법론적 의의는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시화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성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것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This study utilizes Qualitative Network Analysis(QNA) to look at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dolescents who residing in the Mid-west region of the U.S.A.(Michigan, Indiana, Wisconsin). In all, 31 students attending 11 different schoo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sing male, female, low-income family background, average/affluent family background as criteria. The informants were given a social network chart to fill out, which was used as a basis for the follow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QNA allowed the researcher to see what kind of contacts found entrance into someone's network and where they were placed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QNA was found to be a useful method to gain insight into how adolescents evaluate themselves and their social environment. The interview data from the QNA enabled the researcher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structural description of social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network ego's network of contacts, the research yielde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twork.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청소년'의 개념정의및 네트워크 분석의 이해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의 분석
5. 종합적 논의: 다층구조의 지원체제 유무와 사회성 발달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용. (2009).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2 (1), 173-201

MLA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2.1(2009): 173-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