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도박가족모임'에서의 상생적 성찰 과정
이용수 2
- 영문명
- The process of cooperative reflection in 'gamblers anonymous family group'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진숙 최은희 이지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2권 제1호, 232~26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도박중독으로 피해를 겪는 가족들의 자조모임인 단도박가족모임에서 일어나는 상생적 성찰에 관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5개월에 걸친 20회의 참여관찰과 주제보자 3인과 부제보자 10인에 대한 면담, 그리고 관련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단도박가족모임의 참여자들은 각자의 경험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기 자신과 가족모임,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재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절대적 한계를 인식하는 ‘바닥치기’와 ‘어쩔 수 있는 것과 어쩔 수 없는 것’을 구분하는 절망적 현실에 대한 직시, 가족의 중독문제 해결로부터 자신의 내면 문제로의 치환 그리고 성찰의 공유를 통한 ‘마음의 먼지 씻기’, ‘늘 깨어 있기’ 위한 환기와 갱신의 과정을 거치며 전개된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현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도박중독자에 대한 ‘구원자’의 역할을 포기하는 대신, 자신의 마음을 닦는 ‘구도자’의 역할을 채택한다. 이 같은 상생적 성찰을 촉발하는 데에는, ‘익명화’ ‘성찰적 대화’ 그리고 ‘순환성’이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독특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cooperative reflection process of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family group of addicted gamblers under the Gamblers Anonymous(GA). Data were assembl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family group, the ethnographic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main informants and the other 10 supplementary informants, and web site 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The family group operates in an open-mined and autonomous atmosphere, and prioritizes anonymity among its members. The participants came to reset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the family group, and the world by sharing their painful experiences in the group. The transition process that the participants have shown evolves in the following stages: ‘reaching the despair level’ in recognizing their limits, ‘confrontation with reality’ by telling ‘what I can change’ from ‘what I can not change’, ‘purification of the soul’ through cooperative reflection and ‘refreshment and renewal’ to be awake continuously.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humbly accept reality as it is and take the identity of ‘the seeker, or learner’ instead of regarding themselves as ‘the savior’ of their family. In the group, ‘anonymity’, ‘reflexive dialogue’ and ‘circulation in group’ facilitate this cooperative reflection proces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현장과 연구방법
3. 상생적 성찰의 과정
4. 상생적 성찰의 특징과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과 교육과의 관계 고찰
-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서울의 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미국 사회과 수업의 '아시아'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 교사의 미술활동 지도에 대한 탐색
-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제 운영과 교과전담교사의 학교경험 연구
- Beyond the logic of representation in play theories: postmodern perspectives on children's role play
-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본 집단적 각성으로서의 교육
- '단도박가족모임'에서의 상생적 성찰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