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제 운영과 교과전담교사의 학교경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subject teacher system and the school experiences of the special subject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정선 최영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2권 제1호, 105~14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과전담교사제 운영을 통하여 초등학교 교담교사들이 구성하는 학교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담교사제의 운영방식과 교담제 운영과 연관되는 초등학교 사회의 맥락, 그리고 그 속에서 교담교사가 겪는 학교경험을 상호작용론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10개월간 G광역시 ‘가름초등학교’에서 참여관찰과 면담, 그리고 구조적 글쓰기 등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적 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담교사의 학교생활이 모여서 형성되는 학교경험은 느린 학교시간의 경험, 시행착오를 통해 터득한 다양한 교수경험, 섞이지 않는 이방인으로서 소외감, 동료교사들과의 갈등경험이었다. 이러한 경험은 교담교사 제도와 학교의 상황, 그리고 그 속에서 생활하는 교사들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며, 고맥락적 의사소통방식의 결과였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형성하는 구성원들의 경험을 밝힘으로서 특정 제도가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재해석되는가, 그리고 본래 의도와 다르게 운영되는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experiences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subject in an elementary school. The guiding questions of the study focused on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subject teacher system, related social context of the school, and daily school experiences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subject. Thi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as implemented by symbolic interactionism as suggested by Blum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Gareu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for ten months from Marchto December, 2007. Data collection involved intensive participant observation in classrooms and special subject teacher's room, extensiv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structured writing on the teacher in charge of special subject by teachers and students.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hool experiences of special subjects teachers can be summarized as: slow geography of time experiences in school, rich instructional experiences arising from trial and error, feeling of alienation as a marginal person, and conflict with collegial teachers. These experiences are results of correspondences with teachers, the system and the social context of schools. These experiences prevailed in the society of high context communicatio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understand how the system is re-interpreted by member of an elementary school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절차
3. 초등학교 교담교사제 운영방식
4. 교담제 운영의 학교 사회적 맥락
5. 초등학교 교담교사의 학교경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과 교육과의 관계 고찰
-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서울의 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미국 사회과 수업의 '아시아'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 교사의 미술활동 지도에 대한 탐색
-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제 운영과 교과전담교사의 학교경험 연구
- Beyond the logic of representation in play theories: postmodern perspectives on children's role play
-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본 집단적 각성으로서의 교육
- '단도박가족모임'에서의 상생적 성찰 과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