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과 함의

이용수  203

영문명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배현주 진미석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9권 제2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운영되는 실태를 조사하고, 더욱 더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개선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현직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3차의 집단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실제 실천 사례와 우수 사례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는 현실적인 한계로 인해 도입 취지에 부합하게 운영되지는 못하고 있으나, 운영 주체인 교사들의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 전환과 실천을 통해 학교교육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실행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유용한 자료, 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지원하는 평가도구와 기술 등을 개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AI 기술 도입, 담당 학생 수 감축, 보조 인력 충원 등의 기술적·행정적 지원 방안을 제안했다. 그리고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mphasized in the 2022 revision, in Korean school settings. It aim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effective and stable adoption. To achieve this, existing studies on the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in-service teachers to collect practical cases and exemplary practices. The findings reveal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are not yet fully aligned with their intended purposes due to practical constraints. However, they have been shown to promote shifts in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thereby driving changes in school education.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the study suggests providing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revised curriculum,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tools, enhancing teachers' assessment expertise, and offering accessible resources. Additionally, introducing AI technology and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recruiting support staff are recommended to alleviate teachers' workload. Lastly,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rograms to foster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from students and parents regard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현주,진미석. (2024).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과 함의. 핵심역량교육연구, 9 (2), 1-25

MLA

배현주,진미석.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과 함의." 핵심역량교육연구, 9.2(202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