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역량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126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career and employment/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Focus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식
- 간행물 정보
- 『핵심역량교육연구』제9권 제2호, 241~2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들이 제공하는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역량 발현, 즉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 단계에서의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과 관련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3-7차년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로짓모형과 OLS, 패널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다 인과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는 대학생일수록 구직활동 참여 확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구직활동 참여 경험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적인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기업 및 채용 정보 제공, 취업 준비 프로그램, 취업 관련 동아리, 현장실습 및 인턴 프로그램 등과 같이 취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에 비해 구직활동 참여 확률이 높으며, 구직 활동 참여 경험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창업 관련 동아리 참여는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오히려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진로역량을 함양하고, 이들의 진로준비행동을 늘리기 위해서는 대학 차원에서 재학생들의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및 취․창업 프로그램의 질적인 개선 노력 또한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Career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are among the most critical tasks in an individual's life, achieved through diverse experiences, environment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re recognized as essential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 tasks of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i.e., to gaining a deep understanding of oneself, to choose the best career alternative, and to enhance employability for a smooth entry into socie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extracurricular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provided by universities on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OLS, and panel analysis on data from the 3rd to 7th waves of the KEEP II surve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 more frequently in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s offered by universitie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engaging in job-seeking activities and possess more job-seeking experiences. Secondly,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program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s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 such as corporate and recruitment information sessions, job preparation programs, field training and internship programs, and employment-related clubs —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engaging in job-seeking activities and had more job-seeking experienc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versely,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related club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need to make more proactive effort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s of current students in extracurricular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an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should also be pursued in parall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인성역량, 혁신역량, 창의융합역량, 소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역량기반 교육과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과 함의
- 실험 수행과 보고서 작성 역량 강화를 위한 실험 심리학 수업 방안
- 초등 실과 교과서 ‘창의적 제품 만들기’ 단원의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 분석
- 자기보고식 설문도구 개발을 통한 K-CESA 결과 예측 모형 구축
- 가톨릭계 대학의 역량 개념 설정에 관한 고찰 - 가톨릭 교육의 목적과 사명을 바탕으로
- 진로 및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역량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설계학기 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계획, 진로탐색, 진로결정수준 간의 종단적 분석
-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수학습 지원체계 연구
- 교육과정 만족도가 핵심 및 전공역량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간 대학만족도 격차 분해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