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계획, 진로탐색, 진로결정수준 간의 종단적 분석

이용수  72

영문명
A longitudinal exploration of career factor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Leadership Development Scholarship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문지영 양채원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9권 제2호, 217~2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리더육성 장학사업에 참여한 장학생의 다양한 진로개발 관련 요인의 발달곡선을 파악하고, 진로계획과 진로결정수준 간 변화양상에 진로탐색 요인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18년부터 2022년 리더육성 장학사업 장학생 300명의 진로계획, 진로탐색, 진로결정수준은 선형모형의 변화양상을 띄고 있었다. 진로계획 초기치는 진로탐색 초기치 및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계획 변화율이 진로탐색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진로결정수준 초기치 및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탐색 초기치는 진로결정수준 초기치 및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변화율 간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진로계획 초기치는 진로탐색 초기치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 초기치에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서는 종단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장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계획과 개인의 진로에 대한 진로탐색과정에서 발달한 진로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 진로계획 수준이 높은 학생이 진로탐색 정도가 높으며 장학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학생들이 진로결정수준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학생들의 진로계획성을 높이기 위해 장학재단의 진로 관련 프로그램 지원 등 교육적 개입이 장학생들의 성장과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장학생들의 체계적인 진로개발을 위해 꿈장학멘토링 사업 단계에서부터 리더육성장학사업까지 연계될 수 있는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curves of various factors on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300 scholarship recip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der Development Scholarship Program from 2018 to 2022. A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exploration in the changes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a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areer plann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howed a linear pattern of change.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planning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exploratio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change rate of career planning on the change rate of career exploration. However, th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decision-making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Additionally, while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explo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decision-making, the paths between their change rates were not significant.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planning partially mediates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the initial status of career exploration, with no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bserved in the rates of change. This suggests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of scholarship recipients reflects cognitive aspects of career development developed through career exploration processes and individual career planning. Therefore, to enhance the career planning of scholarship recipients,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h as career-related programs should focus on the growth and changes of scholarship recipien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지영,양채원. (2024).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계획, 진로탐색, 진로결정수준 간의 종단적 분석. 핵심역량교육연구, 9 (2), 217-240

MLA

문지영,양채원.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계획, 진로탐색, 진로결정수준 간의 종단적 분석." 핵심역량교육연구, 9.2(2024): 217-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