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행복감,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a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ppiness, Resilience and Ego-resiliency, and Car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지 박인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315~35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배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행복감, 회복탄력성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외생변인으로 설정된 어머니의 공동체의식은 최종 내생변인인 유아의 배려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1차 매개경로, 2차 매개경로, 3차 매개경로를 통해 유아의 배려행동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공동체의식은 행복감을 완전 매개하지 않으며, 회복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면서 행복감을 부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완전 매개하지 않으며, 유아의 배려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면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배려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ppiness, resilience and ego-resiliency, and car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8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 four and five) who attended preschools in city D. The 368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sense of community, happiness, resilience and their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aring behavi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ed effects were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ediated effects were verified with the bootstrapping method. For data analysis,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to examine the general quality of subjects, reliability of the major study tools, normal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resilience. A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s a role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resilience. Second, a mother’s resilience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caring behavior. Children’s ego-resiliency has a role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mother’s resilience and children’s caring behavior. Third, a mother’s sense of community does not have direct effects on children’s caring behavior, while a mother’s happiness, resilience and children’s ego-resiliency have tertiary mediated effects on sense of community and children’s car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재구성을 통한 유아 주도의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인성특성, 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 적용 및 효과분석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행복감,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타자윤리적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의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인성 변화 분석
-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쌍둥이 유아의 관계적 특성 :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 만 4세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