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28

영문명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 Focusing on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오선영 이혜정 김은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45~17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의 젠더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아동문학교재 22권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 220권의 등장인물 성별빈도, 등장배경, 감정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동문학교재 속 국내 창작그림책의 성별빈도는 남성, 여성, 중성 순으로 나타나지만 연도가 지나감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장배경에서 여성은 가사배경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가사배경을 제외한 모든 등장배경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감정표현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 부정적 감정표현에서 모두 남성이 높은 빈도가 나타나 그림책 속에서 여전히 남성위주의 성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올바른 젠더감수성 정립을 위해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되는 국내 창작그림책의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this author analyzed 220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contained in 22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in terms of the gender frequency of the characters,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emotional expressions. Referring to advanced research, this researcher established a criteria for the analysis, and collected data went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ender frequency found in those children’s picture books, masculine, feminine, and neuter genders were found more in that order; however, as years go by,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gets narrowed. Second, about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women are mostly housewives while men appear in all other areas rather than housework.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emotional express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re found often in men, which means that in picture books, male-oriented gender stereotypes are still found. These results imply that to help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stablish righteous gender sensitiv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 in picture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영,이혜정,김은심. (2018).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4), 145-170

MLA

오선영,이혜정,김은심.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4(2018): 14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