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nalysis of Children's Responses to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김민정 김주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17~1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아동이 시와 시그림책을 어떻게 향유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글 텍스트를 공유하는 시와 시그림책의 짝을 아동에게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수집하여 반응의 내용을 면밀히 들여다보았다. 그 결과 시에 대한 인지적 반응에서는 추론적 읽기의 과정을 드러내는 반응들이 많았고, 시그림책에 대한 인지적 반응에는 서사적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시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아동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그림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촉발하는 기제는 그림책의 그림이었다. 시에 대한 심미적 반응에는 시 장르에 대한 아동의 배경 지식이 반영되었고, 시그림책에 대한 심미적 반응에는 시와의 비교 내용이 주로 담겼다. 연구의 결과는 아동이 장르의 특성을 반영하며 능동적인 읽기를 하는 독자라는 점을 확인시켜주었고, 아동에게 시와 시그림책의 고유성을 존중하며 그것들을 폭넓게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것을 즐기는 방법을 안내해야 할 필요를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respond to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by examining the children's reactions to ea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ildren were offered two pairs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at shared written texts. Then, the children's responses to each pai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cognitive response to poetry, there were many reactions for the process of inferential reading, and the cognitive response to the poetry picture books contained many narrative elements. Additionally, emotional responses to poetry were mostly derived from children's experience, and pictures of picture books triggered emotional responses to the poetry picture books. Finally, the aesthetic response to poetry reflects the children's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genre of poetry, and in the poetry picture books, the aesthetic response was mainly about the comparison with poetry. The results confirm that children are active readers who rea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children to be given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with respect to the uniqueness of each and the need to guide children on how to enjoy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재구성을 통한 유아 주도의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인성특성, 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 적용 및 효과분석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행복감,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타자윤리적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의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인성 변화 분석
-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쌍둥이 유아의 관계적 특성 :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 만 4세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