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이용수  38

영문명
Analysis of Children's Responses to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현은자 김민정 김주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17~1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아동이 시와 시그림책을 어떻게 향유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글 텍스트를 공유하는 시와 시그림책의 짝을 아동에게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수집하여 반응의 내용을 면밀히 들여다보았다. 그 결과 시에 대한 인지적 반응에서는 추론적 읽기의 과정을 드러내는 반응들이 많았고, 시그림책에 대한 인지적 반응에는 서사적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시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아동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그림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촉발하는 기제는 그림책의 그림이었다. 시에 대한 심미적 반응에는 시 장르에 대한 아동의 배경 지식이 반영되었고, 시그림책에 대한 심미적 반응에는 시와의 비교 내용이 주로 담겼다. 연구의 결과는 아동이 장르의 특성을 반영하며 능동적인 읽기를 하는 독자라는 점을 확인시켜주었고, 아동에게 시와 시그림책의 고유성을 존중하며 그것들을 폭넓게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것을 즐기는 방법을 안내해야 할 필요를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respond to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by examining the children's reactions to ea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ildren were offered two pairs of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that shared written texts. Then, the children's responses to each pai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cognitive response to poetry, there were many reactions for the process of inferential reading, and the cognitive response to the poetry picture books contained many narrative elements. Additionally, emotional responses to poetry were mostly derived from children's experience, and pictures of picture books triggered emotional responses to the poetry picture books. Finally, the aesthetic response to poetry reflects the children's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genre of poetry, and in the poetry picture books, the aesthetic response was mainly about the comparison with poetry. The results confirm that children are active readers who rea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children to be given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poetry and poetry picture books with respect to the uniqueness of each and the need to guide children on how to enjoy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은자,김민정,김주아. (2018).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4), 117-144

MLA

현은자,김민정,김주아.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4(2018): 11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