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이용수  48

영문명
Five-year-old Children's Responses to Wordless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안은주 이정욱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53~9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의 효과적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상호작용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 곳의 유아교육기관 만 5세 담임교사 세 명과 그 반 유아들이 연구참여자로서 주1회 글 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을 8주간 관찰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크게 ‘읽기 방식에 따른 반응’, ‘그림읽기 반응’, ‘이야기 짓기 반응’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범주로서 ‘자유로운 생각과 표현’, ‘옴니버스 이야기 VS 확장된 이야기’, ‘이야기 출처에 대한 의문’과 ‘상호텍스트적 그림읽기’, ‘보여지는 대로 그림읽기’, ‘호기심을 자극하는 그림읽기’와 ‘내러티브 욕구’, ‘유머 욕구’, ‘과장된 손짓, 몸짓’으로 구체화 되었다. 글 없는 그림책의 가장 적절한 읽기 방식으로 ‘함께 읽기’ 방식을 제안하였고, 유아들의 그림읽기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배경 지식 활성화와 다양한 문학 경험 제공, 이야기 짓기 지원 방안으로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도록 유아의 발화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유머와 몸짓을 포함한 이야기도 모두 이야기 짓기의 한 표현 방식으로 인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ildren's responses to wordless picture books as a basic study to present concrete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action strategies to teacher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wordless picture books. Howe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comparing teachers' reading methods,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actions. Although, in order to present the reading method and the teacher role that can contribute to the teaching strategy and interaction strategy of future wordless picture books,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method and interacting method based on children’s responses are discussed using various literature. Three teachers of five-year-olds and the children from their classes from three nursery schools were observed when doing reading activities for wordless picture books on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The Children's responses to wordless picture books were largely 'responses to reading method', 'responses to picture-reading' and 'responses to story-making'. For each subcategory, the responses were 'free thinking and expression', 'omnibus story VS expanded story', 'curiosity about story source' and 'intertextuality picture reading', 'intuitive picture reading', 'curiosity about picture reading' and 'narrative desires', 'humor desires', and 'exaggerated gesture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read wordless picture books is to suggest a 'shared reading’. Facilit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providing a variety of literary experiences are a means to support children reading. Do not limit children's talk and let them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as a means of supporting story making. Additionally, stories, including humor and gestures, are all suggested to be accepted as a form of story 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은주,이정욱. (2018).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4), 53-90

MLA

안은주,이정욱.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4(2018): 5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