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rt Activity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주 정희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71~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G구에 소재한 P 어린이집과 H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6명(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으로 실험집단은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을, 통제집단은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한 그림책 읽기 후 그리기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또래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 수용, 자기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또래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친사회성, 사교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infants develop their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on infant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infants (13 experimental group, and 13 comparative group) who took part in the 5th grade of the P and N infant care-centers located at G district, Seoul. For the experimental group, 13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For the comparative group,13 subjects were involved in drawing activities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with topics about routine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have positive effects on infants’ self-esteem. Specifically, among the subordinate for self-esteem,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peer acceptance, physical ability, mother acceptance and self acceptance. The cognitive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verall mean value was improved. Second,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peer competence. Specific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ordinate factors of peer competence; initiative, friendly sociality, and sociability. In conclusion,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using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positively affected infant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confirming that they wer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infant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재구성을 통한 유아 주도의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인성특성, 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 적용 및 효과분석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공동체의식, 행복감, 회복탄력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배려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타자윤리적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의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인성 변화 분석
-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쌍둥이 유아의 관계적 특성 :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긍정훈육 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 만 4세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9 Contents
- 青少年自尊特征与自我效能感的关系研究
- 教育数字化背景下中小学教师数字素养培育的价值、困境及路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