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옛이야기그림책의 교육적 의미 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s in Japanese folklor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대련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8권 제2호, 95~1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아용 옛이야기그림책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일본 유아들에게 전통적인 정신적․물질적 가치를 전승하며, 전통 문화를 간접체험 할 수 있는 교육적 자료로서 역할해 온 일본 옛이야기그림책에 내포된 의미를 밝히는 것이 연구의 기본 목표이다. 연구대상은 일본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 선정 「좋은 그림책」에서 추천한 유아용 옛이야기그림책 13편이다. 염구대상 그림책들은 1959년부터 50 여년 가까이 일본 성인들의 교육적 소신을 전하는 매개체로서 일본 유아들의 사랑 속에 읽혀져 왔다. 13편의 옛이야기그림책은 인간 삶의 양식, 즉 의식주, 계절, 신앙과 기원, 놀이와 전쟁, 노동과 수확, 개인과 공동체, 남성과 여성, 어른과 어린이 등, 등장인물과 사건 전개 속에 유아들이 세상을 살아가며 직면하게 될 삶의 위기를 보여주며, 이를 헤쳐 나갈 용기와 지혜를 주고, 미래의 그들 삶 속에 함께 실현하고 만들어가야 할 가치와 세계를 향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Japanese folklor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The basic goal of this study is to see the meanings of Japanese folklore picture books as educational materials to experience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 folklor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recommended in ⌜Good Picture Books⌟ which is published by National Committee of School Libraries in Japan. Those books, repeatedly published under educational minds and love of Japanese people since 1966, are read for more than 40 years. 13 Japanese folklore picture books show human life style such as clothes․food․housing, seasons, religion and origin, play and war, labor and harvest, individual and community, men and women, adult and children, show crises of life that young children will encounter through characters and development of the story, give courage and wisdom to overcome the crises, and present the values and vision towards the world that they will have to realize in their future life. Considering our recent young children educational situation in this global era,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Japan and Japanese minds on young children's education, inquiring to the Japanese folklor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could be a pris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of Korean folklor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일본 그림책의 변천
Ⅲ. 일본 옛이야기그림책의 선정
Ⅳ. 일본 옛이야기 그림책의 내용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