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문학에 표현된 여성의 역할: ‘쌀쥐 보리쥐’, ‘돼지책’, ‘엄마는 비행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f Women's Role in Children's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희옥 김정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8권 제2호, 45~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는 어린 시절부터 많은 문학작품들을 접하면서 성장한다. 그러므로 문학작품의 특성은 유아의 성정체감이나 성역할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이 접하는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성역할과 관련하여 심도 깊게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 활용되는 문학작품들 중 3편을 선정하여 등장인물의 성역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교육 현장에서 성역할 편견에 대처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문학작품들 중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작품에는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기대되어 온 가녀린 여성으로서의 이미지에 더하여 강인한 힘과 유능함도 함께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어 여성들에게 과거보다 오히려 더 과도한 짐을 지우고 있었다. 다음으로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담당해 온 가사노동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오히려 그 가치를 퇴색시키는 듯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에 의한 직업 선택에 대처하기 위하여 창작된 작품에서는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여성성의 특성이 발휘되어 온 직업이 그 내용에서 배제되어 개인의 개성이나 적성에 부합하는 진정한 양성평등적인 내용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영문 초록
Children's literature can effect on forming the view of young children about sex role identity since young children have read various types of books after birth. So it is needed to analyze about the sex-role of characters in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In this research, 3 picture books which have been read mostly in early childhood anti-bias curriculum against young children's formation of stereotyping sex-role identity.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eemed that in these days the burden of women have been getting heavier than past since the typical role of women was still expected to fulfill and at the same time, power and capability for jobs outside home have been demanded. Second, the meaning or the value of household chores which was typically carried out by women was rather ignored than appreciated. Third, in a picture-book which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re were introduced not various sorts of jobs but jobs which were traditionally occupied by men in our society. It was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목차
I. 서 론
II. ‘쌀쥐 보리쥐’에서 본 여성: 알파걸1)에 대한 기대와 환상
Ⅲ. ‘돼지책’을 통해 본 여성과 가사: 이 세상 모든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가사노동에 대한 인식
Ⅳ. ‘엄마는 비행사’에서 본 여성의 직업: 여성적인 일에 대한 진정한 인정은 가능한 것일까?
Ⅴ. 논의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