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특성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The Analysis of Grandparents’ Characteristics in Korea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정숙 정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8권 제2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그림책과 외국 그림책에서 조부모가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대상은 한국 그림책 11권과 외국 그림책 33권이었으며, 그것들을 조부모의 모습과 조부모의 역할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림책의 조부모는 병이나 죽음을 통해 가장 많이 표현되었고, 병이나 죽음을 맞이한 조부모는 수동적이고 무력하게 표현되었다. 둘째, 한국 그림책의 조부모는 제한된 역할만을 보여주었고, 가족 역사 전달자 역할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와 손자녀와의 관계는 외국 그림책에 나타난 그것에 비해 일방적이고, 긴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부모 관련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조부모와 관련한 한국 그림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in Korean picture book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description of grandparents in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It is intended to serve as a basic research towards subsequent researches such as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es of children's responses on the picture books and suggestions on how the Korean picture books involving grandparents should be written. Eleven Korean picture books and thirty three foreign picture book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images and roles of grandparents in the picture books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grandparents in the Korean picture books are described through their diseases or deaths the most. Sick or dying grandparents are characterized to be passive or enervated. Second,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the Korean picture books are limited and they play a role in delivering family history the most.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the Korean picture books are more unilateral and less close than those in the foreign picture book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