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전시공간 색채디자인 선호도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Research on color design preferences for children's muse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재만 배진희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9집, 37~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어린이 전시공간에서 아동들이 선호하는 색채디자인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어린이의 시각적 경험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어린이 전시공간에서는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저채도의 색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보색과 유사색 배색을 많이 쓰고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 어린이들은 파란색 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 색상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파랑, 하양, 청록색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고, 반면 빨강과 자주색과 같은 짙고 강렬한 색깔은 상대적으로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색을 기준으로 전시공간 시뮬레이션 설문 결과, 어린이들은 보색과 유사색 배색을 선호하고, 고명도의 유사 명도 배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려하고 동적인 생동감의 색상을 좋아하고, 맑고 가볍고 깨끗하며 부드러운 배색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어린이 전시공간이 아동의 시각적 선호도를 고려하여 디자인된다면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체험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lor design preferences of children in children's exhibition spaces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the visual experience of children and creating an effective exhibition environment. Currently, a wide variety of colors are used in children's exhibition spaces, but overall, low-saturation colors are used, and complementary and analogous color schemes are predominant. The survey results showed a clear preference for the color blue among children, with color preferences varying by grade level. Specifically, blue, white, and turquoise were the most popular colors, while darker, more intense colors such as red and purple were less popular. Based on their color preferences, the exhibition space simulation survey showed that children preferred complementary and analogous color schemes, and high-intensity analogous color schemes. This shows that they like colorful, dynamic, and vibrant colors, and prefer clear, light, clean, and soft colors. Therefore, if children's exhibition spaces are designed with their visual preferences in mind, they will be more likely to engage and experience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어린이 전시공간에서 색채디자인
Ⅳ. 어린이 미술관에서의 색채디자인 선호도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교과에서의 미술교육: 쟁점과 과제
- 환경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리바운드 현상’에의 비판적 제언
- 미술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 인터뷰를 통한 반성적 사고와 성찰, 성장의 여정
-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을 위한 뇌과학 기반 접근 방법
- 어린이 전시공간 색채디자인 선호도 연구
- 웹툰 창작 활동이 배려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친구들과 갈등 상황을 소재로-
- 뭉크(Munch)의 작품 활동을 통해 살펴보는 미술의 심리 치유적 속성에 관한 연구
- ‘즐거운 생활’ 통합에 대한 분석
-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