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즐거운 생활’ 통합에 대한 분석
이용수 60
- 영문명
- Analysis of integration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적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9집, 169~1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즐거운 생활의 교과 내용을 통합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우선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교과에서 논의되는 통합, 융합 수업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통합교과로서 즐거운 생활 교과를 이해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즐거운 생활 통합 방식과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제 중심의 탈 교과적 통합을 추구하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는 학습 내용의 병합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 즐거운 생활 교과 내에서도 미술, 음악, 체육의 연결내용이 표피적인 주제라는 한계에 머물러 있어 통합의 의미를 찾기 어렵다. 셋째, 통합적인 주제 제시로 인해 아동미술의 표현발달단계에서 1, 2학년 단계에 중요한 미술을 통한 자아 표현이 제한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 시기에 나타나는 풍부한 미술 표현이 억압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놀이 경험 중심 교과 통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1, 2학년 단계에 필요한 지식, 이해의 학습 내용 부재를 초래한다. 다섯째, 표현 주제 중심의 통합으로 인해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 재료와 방법과 같은 미술의 형식에 관한 교육내용이 축소된다. 여섯째, 주제 중심의 탈 교과적 통합을 추구하지만 실제로는 미술 교과서 내용을 부분적으로 차용하는데, 체계성과 정확성이 결여된 채 제시된다. 일곱째, 주제 중심 통합으로 미술교육의 내용 위계가 간과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1, 2학년의 교과 내용의 질적인 구성을 위해서는 주제 중심 통합을 하는 즐거운 생활 교과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contents of integrated subjects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 first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 integrated and convergence classes discussed in art subjects. Next, I review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this, I critically analyzed the curriculum integration method and content, and was able to identify the following problems: integration, which is nothing more than a merging of learning content that covers the same topic, limit to superficial connection of topics even within the integration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uppression of self-expression through art due to presentation of integrated themes, absence of learning content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due to excessive emphasis on play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on art form, such as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and ex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ing from the integration of the theme of expression, lack of systematicity and accuracy in partial borrowing of art textbook content, error in hierarchy of art education content through subject-centered integration. These problem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reexamin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subject-centered integration is necessary to construct qualitative contents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목차
Ⅰ. 서 론
II.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
III.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 및 2022 개정 내용
IV. ‘즐거운 생활’ 통합에 대한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교과에서의 미술교육: 쟁점과 과제
- 환경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리바운드 현상’에의 비판적 제언
- 미술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 인터뷰를 통한 반성적 사고와 성찰, 성장의 여정
-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을 위한 뇌과학 기반 접근 방법
- 어린이 전시공간 색채디자인 선호도 연구
- 웹툰 창작 활동이 배려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친구들과 갈등 상황을 소재로-
- 뭉크(Munch)의 작품 활동을 통해 살펴보는 미술의 심리 치유적 속성에 관한 연구
- ‘즐거운 생활’ 통합에 대한 분석
-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