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리바운드 현상’에의 비판적 제언
이용수 44
- 영문명
- Critical Proposal on the 'Rebound Effect' for Re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연 김향미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9집, 151~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교과는 환경을 애호하는 지식과 가치관 및 태도를 기르는 데 적합한 과목인 동시에,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통한 물성 탐구 및 조형 활동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환경보호에 반하기도 한다는 양가적 측면을 공유한다. 환경을 보호하고자 실천하는 행위가 역설적으로 환경파괴를 야기하는 상황을 ‘리바운드 현상’이라고 한다. 미술교육이 환경교육의 본질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가치를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실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의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환경미술교육의 의미를 재고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 구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미술교육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현황을 검토하여 리바운드 현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환경미술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미술교과에서의 리바운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인식 전환과 더불어, 환경미술교육의 본질적인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의 실천적인 의미를 재고하고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rt curriculum is a subject suitable for cultivating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that cherishing the environment, but at the same time, it shares the ambivalent aspect that it is also contrary 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at it involves exploring physical properties and formative activities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media. A situation in which the act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paradoxically causes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called the "rebound phenomenon." In order for art education to correctly understand the ess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cultivate desirable awareness and value about it, critical reflection and practice on the rebound phenomenon are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rebound phenomenon in art education and to seek a direction for realizing the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is end, the concept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as sought by examining the rebound effect through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art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realize the intrinsic valu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long with a change in perception to overcome the rebound effect in art subj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considers the practical meaning of art education a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환경미술교육
Ⅲ. 환경미술에서의 리바운드 현상
Ⅳ. 미술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현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교과에서의 미술교육: 쟁점과 과제
- 환경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리바운드 현상’에의 비판적 제언
- 미술 교사의 교과서 개발 경험: 인터뷰를 통한 반성적 사고와 성찰, 성장의 여정
-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을 위한 뇌과학 기반 접근 방법
- 어린이 전시공간 색채디자인 선호도 연구
- 웹툰 창작 활동이 배려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친구들과 갈등 상황을 소재로-
- 뭉크(Munch)의 작품 활동을 통해 살펴보는 미술의 심리 치유적 속성에 관한 연구
- ‘즐거운 생활’ 통합에 대한 분석
-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