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70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 based on Deleuze's Image Ontology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홍수경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9집, 241~26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을 토대로 하여 미술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검토해 보고,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에 대하여 문헌연구 방법으로 탐구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들뢰즈는 『시네마』를 통해 이미지는 재현된 허상이 아니라 우리가 사유해야 할 실재의 부분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미지와의 마주침으로 촉발된 사유를 통해 영토화된 시각으로부터 탈영토화하여 새로운 현실을 창안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을 탐구해 나가면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예술 본유의 창의적이고 생성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예술가적 감성 훈련의 과정, 사유 기계-되기의 과정, 차이 생성적 배움의 과정으로 나아가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art department based on Deleuze's image ontology. First,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reviewed. Then, Deleuze's image ontology was explored,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art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suggested. Through Cinema, Deleuze said that images are not illusory representations but parts of reality that we must contemplate. He believed that a new reality could be created by deterritorialization from a territorialized perspective, triggered by encountering images. While exploring Deleuze's image ontology,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ossibility that art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uld evolve in the creative and innovative direction unique to art. To realize that possibility, the researcher proposes that art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cus on artistic emotional training, the process of becoming a thinking machine, and difference-generating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술교육
Ⅲ.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
Ⅳ.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수경. (2024).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241-263

MLA

홍수경.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4): 241-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