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이용수 111
- 영문명
- The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on Self-Esteem and Academic Helplessn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Nurturance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김지예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163~1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를 기점으로 학생들의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학업 스트레스가 더욱 증가, 집중력과 학습 효율성 저하로 학업 무기력 증가가 주목되는바,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부모양육태도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2018 자료 중 3차년도 코로나19 발생시기인 2020년 중학교 3학년 코호트 2384명 데이터 대상으로, SPSS 25.0을 통해 각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고, 자아존중감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이 창출하는 심각한 장단기적 손상의 심각성 교육, 스마트폰을 스스로 자제할 수 있는 맞춤형 전략 제공과 실천 가능한 단계적 전략 제공에 따른 통제 성공 경험 제공, 부모가 단순한 질책 대신 학생들 회복과 극복을 응원하고 지원하며 중재전략 수립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적절한 개입과 활용 필요성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Since the onset of COVID-19, restrictions on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increased academic stress, leading to decreased concentration and learning efficiency, and a rise in academic helplessnes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surge in smart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living alone during the pandemic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mediated by self-esteem, and moderated by parental nurturance. Data from a cohort of 2,384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during 2020,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validate each hypothe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negatively influenced self-esteem,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ed academic helplessness. Moreover, smartphone overdependence directly positively influenced academic helplessness. Self-esteem significantly mediated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positive parental nurturance moderate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crit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uggesting tailored strategies for self-control and practical step-by-step interventions. Furthermore,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arents providing supportive interventions rather than mere reprimands, focusing on student recovery and resilience in devising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CK(제3문화 아이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두려움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상담 멘토링’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