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이용수 77
- 영문명
- Analysis of Changes in School Counseling Policy Applying Kingdon’s Policy Flow Model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정세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 대한 정책의 변동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였다. 학교상담 정책의 변동 과정을 분석하고자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정부 연구 보고서, 시도 교육청에서 출간한 보도자료, 언론 보도자료와 학술논문 등을 수집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학교상담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체계와 전문상담교사의 배치를 위한 정책의 흐름은 2004년「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12조에서 전문상담교사 배치 및 전담 기구 구성을 명시하고 본격적인 학교상담 정책이 활성화되었다. 하지만 법령의 근거 없이 개별 정책이 시행됨으로써 정권이 바뀌거나 주무장관의 교체에 따라 역할과 직무 수행에 혼선이 있어왔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상담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그 목표와 속성에 대한 흐름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정책이 출현하는 과정을 탐색하여 학교상담 정책의 방향성을 바로잡을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학교상담 정책에 대한 법제 마련에 뒷받침할 만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regarding school counseling using Kingdon's policy flow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overall school counseling policy, we collected government reports, press releases, and research reports published by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public trust, as well as academic papers and press releases, and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implementation system for implementing school counseling and the flow of policy for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are established in Article 12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ct」 in 2004, which specifies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composition of a dedicated organization and provides for full-fledged school counseling. The policy has been activated. However, as individual policies are implemented without legal basis, there has been confusion in the performance of roles and duties due to changes in government or replacement of the minister in 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rrect the direction of school counseling policy by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flow of goals and attribute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chool counseling policy and exploring the process of policy emergenc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ovide evidenc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for school counseling polici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CK(제3문화 아이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두려움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상담 멘토링’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