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60
- 영문명
- The Research Trends on Sandplay Therapy for Depression : Focusing on Degre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2007 to 2023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서종수 신이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5~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 동향 분석을 분석하여, 우울개선과 관련된 모래놀이치료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치료적 연구를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에 포함된 논문은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연구를 58편이다. 연구결과, 우울과 모래놀이치료 연구는 매년 평균 3.4편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대상의 학위논문은 53.5%이고, 학술논문은 46.5%이었다. 학술논문의 경우 일반학술지에 실린 연구가 44.4%였으며, 등재지에 게재된 연구가 40.8%,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연구가 12.8%였다. 연구에서 우울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Beck의 우울척도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43개의 연구에서 사전-사후검증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 청소년, 성인으로 다양하였으나, 성인의 비중이 32%로 높게 분포하였다. 연구 참여자 수는 평균 10이고, 상담 회기수는 평균 15회기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과 관련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점 등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sandplay therapy research for depression conducted in Korea, seek research directions for sandplay therapy related to depression improvement,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rapeutic research. The papers included in the study include 58 domestic studies conducted from 2007 to 2023. As a result of the study, an average of 3.4 studies on depression and sandplay therapy were continuously conducted each year. Additionally, 53.1%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degree theses and 46.5% were academic theses.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44.4%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general academic journals, 40.8% were studies published in registered journals, and 12.8% were studies published in candidate journal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pression in research, Beck's depression scale was used most often, and pre- and post-test was used in 43 stud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erse,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but the proportion of adults was high at 32%. The average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was 10, and th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was 15 on averag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such as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nducting sandplay therapy research related to depression and discussions on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CK(제3문화 아이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두려움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상담 멘토링’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