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
이용수 145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and Play Counseling that Appeared as Chaos, Death, and Rebirth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조정진 조정아 이미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195~21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아동 2명이다. A아동은 I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3학년 남아이고, B아동은 Y군에 소재한 B지역아동센터 4학년 여아이다. 연구결과, A아동과 B아동의 카오스 단계에서는 무질서한 캐릭터들과 관련성 없는 작업, 위협적이거나 혼란스러운 놀이가 전개되었고 모성성에 대한 혼돈과 갈등이 나타났다. 죽음 단계에서는 불확실성과 확실성의 대립이 시작되고 애착에 대한 강한 욕구가 보였으며 현실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나타났다. 재탄생 단계에서는 새로운 자아가 나타나고 일상에 대한 적응이 보이면서 죽음과 재탄생의 놀이가 진행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사고가 죽음을 통해 재탄생되어 통합, 질서, 정돈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성장기 양육과정에서 정서적 갈등, 부적응, 혼란을 경험한 아동에게 모래놀이상담은 내면의 힘과 세상과 소통하는 법, 조화로운 통합으로 전체성을 보이면서 적응의 과정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 play counseling that appeared as chaos, death, and rebir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o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Jeollabuk-do. Child A is a third-grade boy at Y Elementary School in City I, and Child B is a fourth-grade girl at B Regional Children's Center in County 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chaos stage of Children A and B, they displayed disorderly characters, unrelated tasks, and threatening or confusing play, and showed confusion and conflict about maternal nature. In the death stage, the conflict between uncertainty and certainty began, a strong desire for attachment was shown, and fear and anxiety about reality appeared. In the rebirth stage, a new self appeared, adaptation to daily life was shown, and the play of death and rebirth was in progress, and new thoughts were reborn through death, and they appeared in the order of integration, order, and organization. This shows that sandplay counseling is a process of adaptation that shows inner strength,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nd harmonious integration to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conflict, maladjustment, and confusion during the growing up proces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CK(제3문화 아이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두려움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상담 멘토링’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