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81

영문명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 of College Students Exposed to Interpersonal Trauma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이정빈 김혜연
간행물 정보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65~9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아동 청소년기에 지속적인 관계외상을 경험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7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경험의 본질에 집중하고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하였다. 주제도출은 필사한 텍스트를 여러 번 읽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관용어구와 예술작품을 참조하면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30개의 하위주제와 7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 드러난 외상 후 삶에 대한 본질은 <부모가 부모같지 않음>, <참을 수 없는 울화통>, <자신없고 위축되는 내가 초라함>, <사람들을 믿을 수 없음>, <세상에 혼자 내버려진 존재 같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애를 많이 씀>, <이전과 다른 ‘나’가 되려고 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주제는 참여자들의 고통에서 벗어나 온전해지고 싶다는 ‘회복에 대한 열망’에 의해 자기를 보호하고 관계를 회복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었다. 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보다 전문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ves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impacted after undergoing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7 college students above the age of 18 who had undergone continuous interpersonal trauma from early childhood.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y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focus on the essence of the vivid experiences and to convey the incidents as they are. This topic of interpersonal trauma was chosen after carefully reading and reflecting on the transcribed text multiple times and also referring to other works of art. As a result of this reading and reflecting, 30 sub-topics and 7 main themes were derived. The main themes include , , , , , , . These themes were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participants partook in order to protect and restore their relationships because they had a ‘desire for recovery’, where they wanted to escape from pain and become whole again.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se students’experience,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a plan to more professionally help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suggest idea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I.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빈,김혜연. (2024).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상담학회지, 5 (3), 65-91

MLA

이정빈,김혜연.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상담학회지, 5.3(2024): 65-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