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너를 통해 나를 보다」: On-line REBT 집단상담 참여자의 상호주관성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Seeing Myself Through You」: Inter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Online REBT Group Counseling
발행기관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저자명
김정연(Jung-Ye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REBT인지행동치료』제5권 제2호, 7~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로 구성된 비대면(ZOOM)으로 진행되는 개방형 On-line REBT 집단상담 참여자들이 상호주관성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으로 탐색한 것이다. 최근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이 치료의 본질로 주목받으며, 집단상담에서의 상호주관성 형성과 경험에 관한 질적 탐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자는 관찰자이자 집단원으로 1년 6개월간 On-line REBT 집단에 참여하였으며, 5명의 집단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그들의 생생한 서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계 속에서 피어나는 소속감과 응집력’, ‘처음엔 멀었던 마음이 조금씩 다가가는 여정’,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순간, 함께 자라나는 나’, ‘있는 그대로의 내가 받아들여질 때, 찾아오는 충만감’, ‘나를 다시 만나고, 의미를 함께 만들어 나감’, ‘누군가를 도울 수 있다는 믿음, 상담자로서 자라나는 나’의 6가지 주제와 2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는 집단 내에서 서로의 진정성 있는 자기 개방을 통해 상호주관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새롭게 이해하고 상담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REBT 집단상담이 인지 재구조를 넘어서 치유와 성장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REBT 집단상담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실천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participants in an open-format, online (via Zoom) REBT (Rati 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composed of counseling pro fessionals—experience intersubjectivity,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 od. In recent years, intersubjectivity has gained recognition as a core component of ther apeutic relationships, highlighting the need for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into how it i s formed and experienced within group counseling setting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 n the group for 18 months as both an observer and member and conducted in-depth int erviews with five group members. Through analysis of their lived narratives, six core t hemes and 24 subthemes were identified: (1) a sense of belonging blossoming through r elationships, (2) a journey of gradually bridging emotional distance, (3) moments of shar ed emotional resonance and mutual growth, (4) the emotional fulfillment that arises from being accepted as one truly is, (5) re-encountering oneself and co-creating meaning, an d (6) the belief in one’s capacity to help others, growing as a counselor. These themes reflect how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rsubjectivity through genuine self-disclosure wit hin the group and, through that process, deepened their self-understanding and professio nal development. The study suggests that REBT group counseling, beyond cognitive res tructuring, can offer a relational space for healing and growth, and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 in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tersubjectivity within REBT group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연(Jung-Yeon Kim). (2025).「너를 통해 나를 보다」: On-line REBT 집단상담 참여자의 상호주관성 경험.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5 (2), 7-39

MLA

김정연(Jung-Yeon Kim). "「너를 통해 나를 보다」: On-line REBT 집단상담 참여자의 상호주관성 경험."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5.2(2025): 7-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