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읽기동기가 유아 문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순차매개효과

이용수  12

영문명
The effect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황윤세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169~18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읽기동기와 유아의 문해력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와 어머니 각각 279명이 참여했고, 어머니의 읽기동기, 유아의 읽기동기, 상상력 그리고 유아의 문해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어머니의 읽기동기는 유아의 읽기동기, 상상력, 문해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매개효과 및 순차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의 문해력 발달과정에서 어머니의 읽기동기와 유아 자신의 읽기동기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문해력 발달과 관련하여 어머니와 유아의 읽기동기 그리고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유아의 상상력 발달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on was observed. A total of 289 children aged 4-5, their’s mothers and 1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Seoul province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27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ding motivation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Second, mother’s reading motivation increase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on, as well as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developmen. Third, the sequentially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dual mediated by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on.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윤세. (2024).어머니의 읽기동기가 유아 문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순차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2), 169-181

MLA

황윤세. "어머니의 읽기동기가 유아 문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순차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2(2024): 169-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