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의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놀이중심 교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6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 and play-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indergarten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문정 최윤정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227~25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세 다문화 통합학급에서 교사가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해 가는 과정을 관찰하고, 관찰전사본, 면담전사본, 언어발달검사도구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통합학급 교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흥미와 의사소통 능력 관찰 및 평가하기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지원 방안은 가정과 연계하여 언어생활 파악 및 협력하기, 자연언어 관찰 및 평가하기, 언어발달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진단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통합학급 교사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해 유아․놀이중심 상호작용 지원하기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지원 방안은 놀이 지속가능 언어 환경 및 매체 지원하기, 다양한 소집단 상호작용 기회 제공하기, 의미 있는 놀이로 심화 확장하기, 효과적인 언어표현 비계 설정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통합학급에서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일상생활 의사소통의 어려움 유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모든 다문화가정 유아가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으로 향상할 수 있는 개별화된 놀이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practical support for teachers of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in kindergarte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we observed teachers applying chil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in a 5-year-old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 and it was analyzed qualitatively. To this end, we observed teachers applying chil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in a 5-year-old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 We collected data such as observation transcripts, interview transcripts, and language development testing tools and analyzed them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first observed and evaluated children’s interests and communication skills in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Specific measures were found to identify and cooperate with language life in connection with families, observe and evaluate natural languages, and diagnose them using language development test tools. Second, we decided to support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lay. Specific support measures included supporting a sustainable language environment and media for pla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verse small-group interactions, deepening expansion into meaningful play,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scaffold for language expres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eachers in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need to support individualized pla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o a higher level than they currently have,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dail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문정,최윤정. (2024).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의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놀이중심 교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2), 227-259

MLA

이문정,최윤정.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의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놀이중심 교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2(2024): 227-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