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귀신 등장인물 분석
이용수 32
- 영문명
- Analysis of Gwisin(鬼神) Characters in Korea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다혜 현은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그림책 안의 귀신 등장인물 분석을 통해, 한국 그림책이 한국 문화에서 인식되어 통용되고 있는 ‘귀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그림책 중 귀신이 등장하는 그림책 127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첫째, 귀신이 사람의 외형이면 그 외형이 사람과 비슷하며 의복을 입고, 언어를 구사하며 연령과 성별도 구별할 수 있었다. 반면, 귀신이 사람의 외형이 아니면 자연귀, 도깨비, 물괴, 사물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귀신이 나타나는 시간적 배경은 밤 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귀신이 등장하는 공간적 배경은 집 밖 귀신의 서식지가 가장 높았다. 셋째, 귀신 등장인물과 사람 등장인물의 관계는 상대를 이용, 두려움의 대상, 우위를 점함, 이해와 소통, 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에서 갈등의 원인은 귀신에게 있는 경우가 귀신이 아닌 다른 곳에 원인이 있는 경우보다 높았으며, 갈등을 해결하는 주체는 사람 등장인물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한국 그림책에서 귀신 등장인물은 아동에게 귀신과 관련된 샤머니즘적 사고를 노출시키며 학습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신의 외형과 특성, 사람과의 관계를 설명하려면 샤머니즘적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아동독자가 귀신 등장인물을 통해 샤머니즘적 사고와 기능을 내면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ghostly characters in Korean picturebooks to see how Korean picturebooks capture the image of 'Gwisin' as it is perceived in Korean culture. For this purpose, 127 Korean picturebooks featuring gho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if the Gwisin was human-like in appearance, it was human-like clothing, spoke human language, and could be identified by age and gender. If the Gwisin was not human in appearance, it appeared as nature ghosts, Dokkaebi, monsters, and object ghosts. Second, the most common temporal setting for Gwisin was nighttime, and the most common spatial setting for Gwisin was outside the home.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Gwisin and human characters were as follows: exploitation, the object of fear, dominanc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nd anxiety. Fourth, Gwisin was more likely to be the cause of conflicts in picturebooks than non-Gwisin, and human characters were more likely to be the ones who resolved confl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se of Gwisin in Korean picture books exposes children to shamanistic ideas related to Gwisin. This is because shamanistic interpretations are needed to explain Gwisin's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This means that young readers internalize shamanistic ideas and functions through Gwisin charact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시그림책과 놀이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학습공동체「유아 수학교육 함께하기」 참여자들의 경험 탐색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숲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놀이성, 또래상호작용, 사회정서발달 -
-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회복탄력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자연체험활동 실행 경험 탐색 : 협력적 멘토링 기반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또래 괴롭힘을 다룬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 반응
-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에 대한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 연구
-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귀신 등장인물 분석
-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의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놀이중심 교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 어머니의 읽기동기가 유아 문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력의 순차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