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이용수  47

영문명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류미지 최미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2호, 183~20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G시와 J도 유아교육기관 만3~5세 유아 담당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분석에 312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교수창의성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관련 변인의 순차적 발달을 고려한 교사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test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G City and J Province, Korea. The 3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1.0 and AMOS 21.0 programs. First, teaching creativ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e. Second, play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resili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e. Thir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play support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ource necessary for teacher education that strengthens play support competen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미지,최미숙. (2024).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 (2), 183-203

MLA

류미지,최미숙. "유아교사의 탄력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5.2(2024): 183-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