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상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prenatal Program Using Meditation an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Rest of Pregnant Wome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유현자 김성훈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권, 249~28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태교란 임신부를 통해서 태내 환경을 바람직하게 조성코자 하는 노력이다. 본 연구는 며상과 미술할동 프로그램을 통해 임신부의 정서안 정과 태아애착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인천광역시 D산부인과에서 운영하는 <태교교실> 임신부 6 영을 실험집단으로, Y산부인과에서 운영하는 <태교교실> 8명을 통제집 단으로 선정된 임부들이다. 명상과 미술활동 태교 프로그램은 다음의 두 가지 시각에서 작성되 었다. 첫째, 기존의 출산준비 교실이나 학습적 측면을 다군 태교 프로그램이 아닌, 명상과 미술활동을 활용하여 태교에서 가장 증요한 부분인 임신부의 정서적 안정을 도와 태아의 건강한 성장발달과 모성역할 및 임부-태아간 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임신부가 자기 자신의 이해와 오감자극 미술활동을 통하여 태아의 뇌 발달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평가를 위한 연구도구는 정서평가 척도와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 그리고 임부-태아간 애착척도로 나누어졌다. 실험기간은 2006년 2월 23일부터 3월 28일까자의 6주 동안이었으며, 1회에 90분씩옹 12회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사후검사와 사전검사 점수의 차이, 즉변화점수의 지단 간 차이를 t 검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녹음 및 관찰기록 그리고 임신부의 경험에 의한 질적 해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대교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임신부들의 정서를 통제집단 임신부들에 비하여 안정시킨 것으로 밝혀겼으며, 그 통계적 검증결 과는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교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임신부들의 상태-특성 불안을 통제집단 임신부들에 비하여 삼소시킨 거스로 밝혀졌으며, 그 통계적 검증결과는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태교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임신부들의 임부-태아 간애착을 통제집단 임산부들에 비하여 증진시킨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통계적 검증결과는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신부들의 주관적 경험과 실험 후 소감을 질적 분석사례로서 요약 정리하여 보았는데, 임시부들이 프로그램 전반부에서 대체로 태아보다는 자기 자신에 대해 먼저 알고자 하는 욕구가 강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평소 착실한 임신부보다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임시에게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것이 홍미로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enatal program using the meditation and art activities on improving rest and reducing unrest of pregnant women, and on increasing attachments towards their fetuses. Two groups of pregnant women to be studied are the experimental group of 6 from D and the controlled group of 6 from D and the controlled group of 8 from Y in Inchun City, Republic of Korea. The prenatal program using art activities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ly, having pregnant women not only to decrease their unrests but also to increase their attachments towards fetuses by changing in their recognition structures towards positive attitudes for their pregnant by improving their self-confidence on the believes of pregnant being women`s typical capability and mystery; and secondly, having pregnant women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o develop brains of their fetuses by stimulating the five sense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ime form the early stage of pregnant to the late stage of baby born. The instruments for evaluating both pre/post experiments include the followings; questionnaire of rest examination with 20 questions, questionnaire of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ith 40 questions, and questionnaire of attachments between pregnant women and their fetuses with 24 question. The experimental period for this study is 6 weeks from February 23rd to March 28th in 2006. The number of practices for this art program is 12 of each with 90 minutes long. Exell program was utiliz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statistical test was don,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tried with recorded tapes, observed notes, personal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Based on all of these the analytical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ed that the emotional rest of pregn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been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by practicing the meditation and the art activities of the prenatal program, and its statistical confidence was highly significant. Secondly, it was founded that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of pregn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been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by practicing the meditation and the art activities of the prenatal program, and its statistical confidence was significant. Thirdly, it was founded that the attachments between pregnant women and their fetu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been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by practicing the meditation and the art activities of the prenatal program, and its statistical confidence was highly significant.
목차
l.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해석
5.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