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상관법의 심리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와의 비교하면서-

이용수  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인경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권, 61~8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먼저’영상관법’이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영상관법의 절차와 과정을 심리치료 관점에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는 서구심리치료 에서의 심상작업과 비교하여 영상관법이 가지는 심리치료적인 의의를 고찰한다. 영상관법이란 이런 마음속의 미해결된 과제와 관련된 특정한 영상을 의도적으로 떠올려서 그것을 그대로 관찰하고, 선정과 지혜를 닦는 수 행법으로 정의한다. 그 절차와 과정은 상담이나 심리치료적인 상황에서 영상관법을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무엇’을 말하는 대상적인 측면과 ‘어떻게’를 가리키는 기술적인 측면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가 있다. 대상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적인 측면을 말한다. 유식심리학의 용어로 설명하면, 전지는 보편적인 마음현상[?行心所]으로서 접촉, 작의, 감정, 생각, 갈망 등을 말하고, 후지는 보편적 마음현상을 탐색하는 특별한 마음현상[別境心所]으로서 의욕, 승해, 염 · 지 · 관을 말한다 영상관법의 의의는 현대 서구 심리치료를 대표하는 인지행동치료와 비교할 때, 공통점과 차이점이 각각 발견된다. 공통점은 이미지노출을 활용한다는 점과 점진적인 통찰의 기법을 사용하고 신경생리학적인 측면은 이완기법을 잘 활용한 점이다.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영상관법은 특정한 영상에서 발생된 부정적인 감정을 통제하거나 조절하지 않고, 오히려 그 감정을 온전하게 경험하게 하여 그 자체로 수용하게 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In general, They said the observation of ``vijnapti-matra``is the practical method of Yogacara Buddhism. What is a way of looking at the vijnapti-matra? It is not clear. In this paper, I define it as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ation(IBMM). It is to observe the reflected images that are intentionally refloated. This image is one of unsolved problem of clients. The process of IBMM is explained in the system of five steps; the hearing on Buddha`s Teaching, the clear understanding of real things (adhimoksa), the rising of the reflected image (smrti), samatha and vipasyana. This is the aspect of ``How`` as the level of skill observed the reflected images. The another process of IBMM is also explained in the system of five steps; contact, intention, emotion, thought, desire. This is the aspect of ``What`` as the level of contents of the reflected images. The procesure of IBMM is similar to the imagery work of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 Their common point is to exposure the selected images that have related with client`s psychological trauma, and relax the level of tension gradually. Their most different point of IBMM and CBT is not to try to control negative emotion, but to experience fully and accept them as they are.

목차

L 머리말
2. 유가행파의 영상관법
1) 영상관법의 정의
2) 과정과 절차
3. 심리치료적 합의
1 ) Joseph Walpe의 체계적 둔감법
2) 인지치료의 심상작업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인경. (2008).영상관법의 심리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와의 비교하면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61-89

MLA

인경. "영상관법의 심리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와의 비교하면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08): 6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