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과 념지관(念止觀) 명상과의 비교 고찰
이용수 1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and Sati·Samatha & Vipassana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김말환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권, 7~60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9,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고는 최근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행동의학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명상을 기초로 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몸과 마음을 이완 하여(SR&RP)’ 심신의학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MBSR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감각느낌의 관찰을 통하여 마음의 실체를 알아차리게 하고, 무명의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근원적 초월과 해탈의 경험 그리고 치료’를 제공해 주는 염지관 명상법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이 두 프로그램을 비교 고찰함에 있어서, 우선 두 포로그램의 공통점을 찾아보고 나아가 두 프로그램의 수행핵심의 근거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두 프로그램의 수행 방법과 그 절차의 주요 부분을 살펴본다. 그리고 난 다음 두 프로그램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수행프로그램이 행하고 있는 동기와 그 목적이 보다 선명하게 발췌될 것으로 보았다. 논자는 이러한 논리를 가지고 두 수행 프로그램을 고찰한 바, ‘염sati’ 의 수행인 ‘호흡에 의한 마음의 주의 집중’을 우선으로 하여, ‘몸과 마음의 실체를 통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MBSR의 프로그램은 환자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수행프로그램 중 몸과 마음을 이완 하게 하는 보디스캔 즉 몸의 부위 별 통찰에 우선하여 점차 좌선, 요가, 보행 명상으로 발전시켜 자갔다. 염지관 명상 프로그램은 ‘명상치료프로그램’의 일부 이지만, 호흡과 四聖諦觀法을 바탕으로 하여, ‘감각느낌의 검색을 통찰하여’ 마음의 실체를 찾아간다. 마음의 실체는 바로 알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감각느낌을 통해서 마음은 자신의 실체를 드러내기 때문에 감각느낌을 알아차리고 그 곳에 머물러서, 그 변화를 지켜보는 수행’을 행한다. 그 느낌의 검색을 명상일지로 기록하여 자신의 탐색과정을 조명하게 하며, 지도자로부터 점검을 통해 수행의 발전을 진척시켜 나가고 있다. 위에서 보듯이 두 수행프로그램의 비교 고찰에서, 수행동기가 상호 다르게 출발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발전과정에서는 상호 유사점과 보안 점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염지관 명상 프로그램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보다.
영문 초록
MBSR(Jon Kabat-Zinn) is based on rigorous and systematic training in mindfulness, a form of meditation originally developed in the Buddhist traditions. It is a systematic approach to developing new kinds of control and wisdom in our inner capacities for relaxation, paying attention, awareness, and insight. Sati·Samatha & Vipassana(In Kyung) is a systematic approach to insight through feeling of sensualities, to realize in a person`s nature mind, and supply about transcending to sorrow`s of the mind(duhkha) and to karma. The common of two programs is paying attention to our breathing when we are mindful(sati) of our breathing, it helps us to calm the body and the mind. As studying the breath, Mindfulness of breathing is alive, calming and returning to the here and now. Differently, MBSR helps therapy of patients eight-week course in the stress clinic, sitting meditation, the body-scan, yoga, walking meditation. Sati·Samatha & Vipassana helps ether patients or practitioners for awareness of inner nature mind, reference of body feeling, yoga meditation, anupassan.(隨觀), meditation`s diary.
목차
I. 序論
II.本論
1. 두 명상치료 프로그램의 공통분묘
2.'Sati 와 호흡'명상 수행의 개념
3. 'MBSR의 주요 프로그램’ 진행 방법 고찰
4. 念止觀명상 프로그램의 방법 고찰
5. 두 프로그램의 특징과 그 비교
III. 結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