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의 타당화
이용수 128
- 영문명
- Validation of Physical Self-effica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김인수(Kim, In-Soo)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2호, 135~1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2022년 현재 J도와 G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28명(남:219, 여: 209)을 대상으로 Collea 등(2008)과 Maddux 등(1982)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요인의 적합도 분석에서 χ² 값을 제외한 CMIN/df, RMR, GFI, AGFI, CFI, RMSEA 값이 양호한 수준을 보여 단일요인 척도가 확인되었다. 둘째, 세부분석에서 표준화 회귀계수(SRW)가 10개문항 모두 .50 이상으로 나타났고, 개념신뢰도를 나타내는 AVE값과 CR값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를나타내는 문항 간 내적 합치도는 .890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성별, 운동참여유무집단 간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정기적 운동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종합하면 이 연구에서 타당화하고자 한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는 개인이 자신의 운동능력(즉, 힘, 속도 및 조정, 불안, 피로, 운동방법)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도록 설계된 단일요인 구조의 척도가 확인되었으므로 일반화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로 적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collected 428 elementary school children(boys: 219, girls: 209) at J province and G city. This study used the scales of Collea et al. (2008) and Maddux et al.(1982) after modification. This study used confirmed factor analysis by AMOS 23.0. As result as follows; first, CMIN/df. RMR, GFI, AGFI, CFI, and RMSEA values excluding were found to be good in the analysis. Second, in the detailed analysis, the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RW) was found to be more than .50, the AVE value and the CR value indicating conceptual reliability were good, and Cronba's α was high at .890.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hysical self-efficacy between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groups, boys ha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an that of girls and exercise participation groups than that of non-participation groups. Taken toget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validated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 generalized physical self-efficacy scale, as a single-factor structure designed to assess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ir motor abilities (i.e., strength, speed and coordination, anxiety, fatigue, and exercise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담교사와 학생 간 갈등의 유형 및 배경 드러내기
- 초등학생의 스포츠 공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현실과 발전적 운영방안
- 2015 개정 초등 체육과 도전영역 교사용 지도서 내용분석
- 코로나 시대 초등학교 표현 영역 수업 현황 탐색
-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의 타당화
-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