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이용수  59

영문명
Self-study on the evaluation cont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or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고문수(Ko, Moon-Soo)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2호, 21~3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자가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문항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가 평가 문항을 어떤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구성된 각각의 평가문항에서 주목한 내용이 무엇인지를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의 수업일지와 기말평가 문항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과 교수·학습의 방향 중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수업, 전인적 발달을위한 통합적 교수·학습의 내용에 주목한 평가문항을 분석하였다. 둘째, 수업 환경을 조성하는 운영 측면을 평가하는것에 주목한 내용으로 과제제시, 수업 전개구조, 교수적 언어 단서 제공에서 주목한 문항을 분석하였다. 셋째, 수업모형과 교수·학습 전략의 평가에 주목한 내용으로 체육과 수업모형, 교수전략과 효율적인 수업운영에서 주목한 문항을 분석하였다. 넷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 근거를 평가하는 문항에서 주목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체육평가의 목적과 평가 방향에서 주목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체력 개념의 이해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주목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대학에서 체육교육과정 강좌의 평가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교수자가 평가문항을 구성할 때, 어떤 내용에 관심을 집중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도록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 aspect that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ors have focused 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questions. Specifically, it is to figure out what content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d of, and what the attention was paid to in each of the composed evaluation items. The researcher's class diary and final evaluation questions were collected as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he evaluation items focusing on the content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for holistic development and classes by lev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ere analyzed. Second, the item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aspects that create the class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the items focused on task presentation, class development structure, and instructional language clue provision were analyzed. Third, the item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structional model and teaching-learning strategy were analy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model, instructional strategy, and efficient instructional management. Fourth, the contents of attention in the question evaluating the development basi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Fifth, the contents of attention in the purpose and evaluation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evaluation were analyzed. Sixth, the contents that were noted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hysical fitness were analyzed.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explore about the meaning of the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cours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what content teachers should focus their attention on when composing the evaluation i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체육교육과정’ 기말평가에 관한 분석과 해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문수(Ko, Moon-Soo). (2022).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8 (2), 21-39

MLA

고문수(Ko, Moon-Soo).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8.2(2022): 2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